작가 박완서가 아들의 죽음을 겪으면서 기록한 일기 "한 말씀만 하소서"가 새로운 모습으로 출간되었다. 가톨릭 잡지 "생활 성서"에 1990년 9월부터 1년 간 연재했던 것을 세계사의 "박완서 소설전집"에 포함시켜 펴낸 바 있다. 자식을 잃은 어미로서의 참척의 고통과 슬픔, 이를 감내해가는 과정을 날것 그대로 가식없이 풀어냈으며, 자기 자신과 신에 대한 고백의 형식을 띠고 있어 그 절절함이 더하다. '통곡 대신 미친 듯이 끄적거린' 것이라는 저자의 일기에는 앞세운 아들에 대한 비통함과 그리움, 저자 자신이 겪고 있는 극한의 고통과는 무관하게 돌아가는 무정한 세상에 대한 분노, 생명을 주관하는 신에 대한 저주가 뒤섞여 있다. 이러한 분노와 저주, 절규는 존재의 한계성에서 벗어날 수 없는 나약한 우리 모두의 고백으로 되돌아온다. 이 일기문에서 받는 이같은 감동은 처참함과 비통 속에서도 삶과 죽음, 절대자에 대한 성찰을 보여주며 세상으로부터 도피하고자 하였던 저자가 다시 세상으로 돌아오기까지의 과정을 재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독자는 그가 이 고통과 절망 속에서 이룩한 성찰의 깊이와 인식의 폭에 숙연함을 느낄 수밖에 없다. 적절히 배치된 판화 제작된 삽화 역시 여백미와 압축미를 살려 저자의 고통과 절망에 찬 시간을 형상화하면서도 따뜻한 색감으로 글의 감동을 더욱 배가시킨다. 저자: 박완서 저자 박완서는 1931년 경기도 개풍군에서 출생. 서울대 문리대 국문과 재학 중 6·25전쟁으로 학업을 중단했다. 1970년 『여성동아』장편소설 공모에 『나목』이 당선되어 불혹의 나이로 문단에 데뷔한 그는 이후 정력적인 창작활동을 하면서 그 특유의 신랄한 시선으로 인간의 내밀한 갈등의 기미를 포착하여 삶의 진상을 드러내는 작품세계를 구축해왔다. 『부끄러움을 가르칩니다』『휘청거리는 오후』『목마른 계절』『살아있는 날의 시작』『엄마의 말뚝』『그해 겨울은 따뜻했네』『꽃을 찾아서』『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꿈엔들 잊힐리야』(원제『미망』)『저문 날의 삽화』『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아주 오래된 농담』『그 남자네 집』등 다수의 소설작품과, 『꼴찌에게 보내는 갈채』『살아있는 날의 소망』『나는 왜 작은 일에만 분개하는가』『어른노릇 사람노릇』『아름다운 것은 무엇을 남길까』『두부』등의 산문집이 있다. 한국문학작가상(1980) 이상문학상(1981) 대한민국문학상(1990) 이산문학상(1991) 중앙문화대상(1993) 현대문학상(1993) 동인문학상(1994) 한무숙문학상(1995) 대산문학상(1997) 만해문학상(1999) 인촌상(2000) 황순원문학상(2001) 등을 수상했다. 한 말씀만 하소서 해설: 황도경 통곡과 말씀의 힘 박완서 문학의 가식 없는 원천, 《한 말씀만 하소서》 박완서의 일기 《한 말씀만 하소서》가 새로운 꾸밈새로 재탄생하였다. 《한 말씀만 하소서》는 작가가 아들의 죽음을 겪으면서 기록한 일기문이다. 가톨릭 잡지 《생활성서》에 1990년 9월부터 1년간 연재하였던 것으로 세계사의 에 포함되어 연재 당시의 제목인 《한 말씀만 하소서》로 출간된 바 있다. 작가는 소설 외에 산문, 동화 등 다른 장르의 작품도 꾸준히 발표해 왔는데, 그 중에서도 《한 말씀만 하소서》는 박완서 문학을 논하는 자리에 자주 거론되는 중요한 작품이다.
Dieser Download kann aus rechtlichen Gründen nur mit Rechnungsadresse in A, D ausgeliefert werd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