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회 혼불문학상 수상작"같은 작가로서 시샘이 날 정도이다" _한승원(소설가ㆍ심사위원장)제9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최후의 만찬』이 출간됐다. 응모작은 총 263편이었고 예심을 통과한 작품은 총 6편이었다. 그중에 4편이 최종심에 올랐고 치열한 논의 끝에 신해년(1791년), 우리나라 최초의 순교자 윤지충과 권상연의 순교 장면으로 소설을 여는 『최후의 만찬』이 당선작으로 선정됐다. 심사위원장 한승원 소설가는 이 소설에 대해 "보기 드문 수작이다." "나는 왜 이런 소설을 쓰지 못했을까, 시샘이 날 정도이다." "다른 소설가들이 읽으면 깜짝 놀랄 작품이다." 등의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심사위원들은 "우리 문학에서 오랜만에 만나는 품격 높은 새로운 역사소설"이 탄생했다는 사실에 주목했으며 "오랜 철차탁마를 거친 깊은 내공의 소유자이며 절제된 시적 문장을 다루고 있다"고 평했다.혼불문학상은 우리시대 대표소설 『혼불』의 작가, 최명희의 문학 정신을 기리기 위해 2011년에 제정되어, 1회 『난설헌』, 2회『프린세스 바리』, 3회 『홍도』, 4회 『비밀 정원』, 5회 『나라 없는 나라』, 6회 『고요한 밤의 눈』, 7회 『칼과 혀』, 8회 『독재자 리아민의 다른 삶』등이 수상작으로 결정되었다. 혼불문학상 수상작들은 한국소설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며 독자들로부터 꾸준한 사랑과 깊은 신뢰를 받고 있다. 제9회 혼불문학상 심사위원으로는 한승원 소설가(심사위원장), 김양호 평론가, 김영현 소설가, 이경자 소설가, 이병천 소설가가 참여했다.작가: 서철원ㆍ경남 함양 출생ㆍ전주대학교 국문학과 졸업ㆍ전북대학교 국문학과 문학박사ㆍ2015 장편소설 왕의 초상 출간ㆍ2017 장편소설 혼,백 출간ㆍ2018 학술연구서 혼불, 저항의 감성과 탈식민성 출간ㆍ2013 대한민국 스토리공모대전 최우수상 수상ㆍ2016 제8회 불꽃문학상 수상ㆍ2017 제12회 혼불학술상 수상ㆍ2019 제9회 혼불문학상 수상ㆍ현 전주대학교 한국어문학과 / 전북대학교 국문학과 출강목차:1부 죽은 자의 권리신해의 바람 / 은행나무 / 용의 눈물 / 13인의 만찬 / 눈보라 / 하초동충 / 어미의 죽음 / 초라니패 / 불꽃 / 도화서 별제 / 길쓸별 / 제비꽃 그 아이 / 이색홍채 마른 숨결, 젖은 별 / 역린 / 오병이어 / 이화우 / 그 밤의 언약 / 오동나무2부 길 위의 별들추적 / 가을장마 / 선율의 밤 / 남사당 / 빈 칼, 질긴 몸 / 세자익위사 / 외인 / 시간의 마루 / 몸과 악기 / 외로운 길 / 누이의 꿈 / 뜻밖의 이름들 / 동시성 / 악의 음계 / 재회의 초가 / 내금위 / 소실점 / 프리메이슨3부 세상의 향기향기 도둑 / 오라비 별 / 두 개의 낮달 / 인체비례 / 카메라 옵스큐라 / 외딴곳 / 도검장 / 실증의 허기 / 심역사 / 변음 / 불길한 예감 / 삶의 희구 / 궁중 연향 / 징소리 / 존현각의 달 / 생의 희비 / 최후의 만찬 / 생과 사 / 망자의 권리에필로그 기억의 끝심사평 / 작가의 말 『최후의 만찬』은 환성적인 소설이다. 작가는 자신이 선택한 역사 속의 인물들을 꿈꾸듯이 재창조하고 역사적인 시간을 재구성한다.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에 등장하는 인물, 시대를 초월하는 설정은 소설과 만나는 독자의 눈을 놀라게 한다. 화가 김홍도의 그림에 대한 이야기, 여주인공과 다산의 깊은 영육의 조우, 그녀가 꿈꾸는 세상은 무지개 같은 결과 무늬를 가지고 있다. 이 소설은 천천히 저작하듯 읽어야 한다.
Bitte wählen Sie Ihr Anliegen aus.
Rechnungen
Retourenschein anfordern
Bestellstatus
Storno